목록Server (16)
Dev_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wP3j/btqCy3GzPhO/4lbtOBG3Eqyk3GWPpHqoYK/img.png)
도커의 설치가 끝났으므로 이제 도커를 사용한 웹 서버를 구축해보겠습니다. 여기서는 제가 가지고 있는 책에서 소개하는 오픈소스 웹서버인 Nginx 환경을 구축하겠스빈다. Nginx는 대량의 요청을 처리하는 대규모 사이트에서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리버스 프록시나 로드밸런서와 같은 기능도 갖고 있습니다. 도커 컨테이너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도커 컨테이너의 바탕이되는 도커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도커 공식 레포지토리인 도커허브에는 Nginx이미지가 제공되어있습니다. 아래 명령어를 이용해 클라이언트 pc로 다운로드 합니다. pc로 다운로드 되어있는지 확인할때는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docker image ls 다운로드가 잘 되었네요 이제 Docker 이미지 준비가 끝났습니다. 이제 도커 이미지를 사용하여 Ng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ATGY/btqCz5cQcxK/xV4EwxgkZioYYmhkxYVa50/img.png)
이번에는 도커의 설치 후 확인할 기본 명령어 몇개를 소개하겠습니다. 1. Docker 버전 확인 이를 통해 도커의 버전이나 go언어의 버전, os, 아키텍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ocker version 2. Docker 실행 환경 확인 도커의 실행 환경의 상세 설정이 표시됩니다. sudo docker system info (sudo 없이 치니 permission denied가....) 3. Docker 디스크 이용상황 도커가 사용하고 있는 디스크의 이용 상황이 표시됩니다. docker system df 이상 기본 docker 확인 명령어에 대한 포스팅은 마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도커를 이용해 웹서버를 작동시켜보겠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BNEb/btqCy46y9Cv/P3W2GZMSW4uqesV36bkX61/img.png)
이번 Docker 설치와 실행은 VMware를 이용한 Ubuntu 환경에서 진행하겠습니다. 우선 VMware ver 15.5.1를 이용해 Ubuntu를 실행시켰습니다. ---------------------------(+수정)--------------------------- 원래 했던 방법 외에 가장 간단하게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은 자동 설치 스크립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면 root 권한을 요구하고 잠시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curl -s https://get.docker.com/ | sudo sh 잠시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후 버전을 확인하면서 설치가 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docker version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ykRN/btqCzBiNezK/nQqWgOUawSTRbDbtIAsup0/img.png)
[Docker에 대해 공부하며 작성하는 개발일지 수준입니다.] 도커는 간단히 말해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것을 하나로 모아, Docker 이미지를 관리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이식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우선 Docker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배경에 있는 컨테이너 기술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려 합니다. > 컨테이너 컨테이너란 호스트 os상의 논리적인 구획을 만들고,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나 애플리케이션 등을 하나로 모아, 마치 별도의 서버인것 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호스트 os의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분리시키고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공유하며 사용합니다. 특히 컨테이너는 오버헤드가 적기 때문에 가볍고 고속으로 작동한다는 것이..